2023년 05월 25일 (목) #국내 마감시황
#국내환율 마감시황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6원 상승한 1,319.0원으로 출발. 장초반 1,318.6원(+1.2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원/달러 환율은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며 1,325원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장막판 상승폭을 확대하며 1,326.4원(+9.0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끝에 1,326.0원(+8.6원)에서 거래를 마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한 가운데, 5월 FOMC 의사록 공개 속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에 원/달러 환율은 상승. 이창용 총재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이 결정은 금통위원 전원 일치였다"고 밝힘. 이어 "저를 제외한 금통위 위원 모두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으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언급했음. 한국은행은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하향 조정.
지난밤 공개된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 간에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쪽과 금리 인상을 중단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짐. 이에 Fed의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부각됐음.
아울러 수입업체들의 결제 수요가 유입된 점도 원/달러 환율에 상방압력을 가함.
(관련기사)
http://www.paxnet.co.kr/news/mainView?vNewsSetId=1445&articleId=2023052517174303536
#코스피 마감시황
지난밤 뉴욕증시가 부채한도 협상 난항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570.64(+3.19P, +0.12%)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2,575.05(+7.60P, +0.3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줄였고,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음. 이내 하락 전환했고, 낙폭을 키워 오후 들어 2,551.49(-15.96P, -0.6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였으나 결국 2,554.69(-12.76P, -0.50%)에서 거래를 마감.
미국 부채한도 협상 난항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기관 순매도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5월 FOMC 의사록 공개 이후 금리 인상 종료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美 디폴트 예상일(6월1일)을 1주일 가량 앞두고 백악관 협상단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측이 회동을 가졌지만 교착상태가 지속됐음. 매카시 하원의장은 "협상가들이 부채한도 협상을 끝내기 위해 테이블에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출 조정과 관련해 양측의 의견이 여전히 분분하게 갈리고 있다"며, "지난해보다 지출을 줄여야한다"고 밝힘. 아울러 "여전히 타결과는 거리가 멀다"며, "실무협상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길 바란다"고 밝힘. 지난밤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은 의회가 부채한도를 상향하지 않으면, 연방정부는 6월초에 채무를 지불할 수 없을 것이라며 부채한도 협상의 조속한 타결을 촉구.
지난밤 공개된 5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 간에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쪽과 금리 인상을 중단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짐. 몇몇(Several) 참석자들은 경제가 현재의 전망대로 전개된다면 이번 회의 이후 추가 정책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언급. 반면, 일부(some) 다른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 것이 용납하기 힘들 정도로 느릴 수 있다는 예상에 근거할 때 추가적인 정책 강화가 미래 회의에서 보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 한국은행은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소폭 하향,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3.5%를 유지.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투자 등도 부진하자 3개월만에 전망치를 하향 조정. 이창용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아예 배제하지는 말아달라고 강조. 최종 금리 전망의 경우 금통위원 6명 전원이 연 3.75%로 인상 여지를 열어놨다고 덧붙임.
(관련기사)
http://www.paxnet.co.kr/news/mainView?vNewsSetId=1445&articleId=2023052517191303546
#코스닥 마감시황
지난밤 뉴욕증시가 부채한도 협상 난항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7.30(+1.84P, +0.22%)으로 소폭 상승 출발. 장 초반 860.01(+4.55P, +0.53%)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줄여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한때 845.84(-9.62P, -1.1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847.72(-7.74P, -0.90%)에서 거래를 마감.
미국 부채한도 협상 난항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동반 순매도를 기록. FOMC 의사록 공개 후 금리 경로 관련 불확실성이 커졌고, 한국은행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한 점도 투자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
(관련기사)
http://www.paxnet.co.kr/news/mainView?vNewsSetId=1445&articleId=2023052517193803548
출처 : 주식속보탐색기
#국장 #마감시황 #국내주식 #마감
#코스피 #코스닥 #시황
[주식마감시황/국장마감시황] 2023년 05월 31일 (수) #국내 마감시황 (0) | 2023.05.31 |
---|---|
[주식마감시황/국장마감시황] 2023년 05월 30일 (화) #국내 마감시황 (0) | 2023.05.30 |
[주식마감시황/국장마감시황] 2023년 05월 24일 (수) #국내 마감시황 (0) | 2023.05.24 |
[주식마감시황/국장마감시황] 2023년 05월 22일 (월) #국내 마감시황 (0) | 2023.05.22 |
[주식마감시황/국장마감시황] 2023년 05월 19일 (금) #국내 마감시황 (2) | 2023.05.19 |